🪷 불상 손 모양(수인)의 의미
사찰에서 만나는 불상은 모두 같은 듯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손 모양이 다릅니다.
불교에서는 이 손 모양을 ‘수인(手印)’이라 하며, 각각 다른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수인은 손의 모양과 위치로써 불보살이 어떤 특정한 상태나 행동에 있음을 나타내 주는 일종의 약속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불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수인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모양: 선정인에서 왼손은 무릎 위에 그대로 놓고 오른손으로는 땅을 가리키는 자세입니다.
- 의미: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을 때 마왕을 물리치고, 땅의 신에게 부처님의 수행 공덕을 증명해 보이라고 땅을 가리키는 수인입니다.
- 어디서 볼 수 있나? 석굴암 부처님이 왼손은 선정인을 하고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습니다.
2️⃣ 선정인(禪定印)
- 모양: 결가부좌 상태로 참선, 즉 선정에 들 때의 수인입니다. 왼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꼽 앞에 놓고, 오른 손바닥도 위로 하여 그 위에 겹쳐 놓으면서 두 엄지손가락을 맞대는 모양입니다.
- 의미: 깊은 명상 상태, 마음의 고요와 깨달음을 상징.
- 어디서 볼 수 있나? 약사여래불이나 미륵불상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구례 화엄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3️⃣ 천지인(天地印)
- 모양: 오른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은 땅을 가리킵니다.
- 의미: 석가모니 탄생 직후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하늘 위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이라 외치며 취한 수인입니다. 오른손은 하늘을 가리키며 왼손은 땅을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선정인,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여원인, 시무외인을 석가모니의 근본 5인이라고 합니다. 또는 여원인과 시무외인을 하나로 보고 천지인을 포함하여 석가모니의 근본 5인이라고도 합니다.
- 어디서 볼 수 있나?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보성 대원사 탄생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4️⃣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與願印)
- 모양: 시무외인은 오른쪽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위로 향하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높이까지 올린 형태입니다. 여원인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손가락은 펴서 밑으로 향하며 손 전체를 아래로 늘어뜨리는 모습입니다.
- 의미: 시무외인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 주어 우환과 고난을 해소하는 덕을 보이는 수인입니다. 여원인은 부처님께서 중생에게 자비를 베풀고 중생이 원하는 바를 이루게 하는 덕을 표시한 수인입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희를 지켜주겠다”는 자비의 상징.
- 어디서 볼 수 있나? 보은 법주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5️⃣ 전법륜인(轉法輪印)
- 모양: 오른손으로 엄지와 검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들고, 왼손으로는 오른손을 받치는 수인입니다.
- 의미: 법륜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합니다. 부처님이 성도 한 후 다섯 비구니에게 첫 설법을 하며 취한 수인입니다.
- 어디서 볼 수 있나? 서울 수국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6️⃣ 지권인(智拳印)
- 모양: 비로자나불의 수인으로 오른손으로 왼손의 검지 윗부분을 감싸는 모습입니다. 손이 바뀌기도 합니다.
- 의미: 지권인은 일체의 번뇌를 없애고 부처님의 지혜를 얻는다는 뜻입니다. 오른손은 부처님의 세계를 왼손은 중생을 나타내어 중생과 부처가 하나임을 뜻합니다. 비로자나불은 법신불이라고 하며, 지혜 광명의 뜻으로 진리 자체를 말합니다.
- 어디서 볼 수 있나? 철원 도피안사,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볼 수 있습니다.
🪷 불상 수인은 부처님의 언어
불상은 단순한 조각상이 아니라, 손 모양을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상징입니다.
- 항마촉지인 → 깨달음과 마왕의 굴복
- 선정인 → 고요한 명상과 수행
- 천지인 → 삭가모니 탄생의 의미
- 시무외인/ 여원인 → 두려움 없는 자비, 중생의 소원 성취
- 전륜법인 → 부처님의 가르침, 설법하는 모습
- 지권인 → 중생과 부처가 하나라는 의미
사찰에서 불상을 볼 때 단순히 절만 하는 게 아니라, 손 모양을 관찰하며 부처님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느껴보는 것도 불교문화를 깊게 이해하는 방법이 됩니다.
사찰을 방문하여 불상과 마주하게 된다면 어떤 수인을 하고 있고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